jineecode
파이썬 본문
파이썬 타입에는 크게 4종류가 있습니다.
| 자료형 | 설명 | 문법 및 사용 예시 | 
| 리스트형 | 리스트 안에는 어떠한 자료형도 포함시킬 수 있습니다. | 리스트명 = [요소1, 요소2, ...]  예) test = [1, 2, '한국'] | 
| 튜플형 | 리스트는 그 값의 생성, 삭제, 수정이 가능하지만 튜플은 그 값을 바꿀 수 없는 특성을 제외하고는 리스트형과 거의 비슷합니다. | 튜플명 = (요소1, 요소2, ...)  예) test = (1, 2, '한국') | 
| 세트형 | 집합에 관련된 것을 쉽게 처리하기 위해 만든 자료형입니다. | 세트명 = set([요소1, 요소2, ...]) 또는 세트명 = {요소1, 요소2, ...}  예) a = {'일본', '중국', '한국'} | 
| 딕셔너리형 |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자료형입니다. | 딕셔너리명 = {키1:값1, 키2:값2, ...} 예) test = {1:"가", 2:"나", ...} | 
여기서 추가로 알아볼 것은 세트형(Set형; 집합형)입니다.
set형에는 remove, add, update 함수 등이 있습니다.
| 세트에 사용되는 함수 | 설명 | 
| remove | 특정 값 제거(원래 세트에 값이 없을 경우 무시) | 
| add | 값 1개를 추가(중복값은 무시) | 
| update | 값 여러개를 추가(중복값은 무시) | 
python의 기본적인 연산자는 다음과 같다.
| 연산자 | 내용 | 예 | 
| + | 덧셈 | >>> print(4+2) 6 | 
| - | 뺄셈 | >>> print(4-2) 2 | 
| * | 곱셉 | >>> print(4*2) 8 | 
| ** | 제곱승 | >>> print(4**2) 16 | 
| / | 몫 | >>> print(5/2) 2.5 | 
| // | 정수몫 | >>> print(5//2) 2 | 
| % | 나머지 | >>> print(5%2) 1 | 
파이썬의 생성자, 소멸자
| 구분 | 문법 | 
| 생성자 | class 클래스명: def __init__(self): 명령어 | 
| 소멸자(파괴자) | class 클래스명: def __del__(self): 명령어 
 | 
class A:
  def __init__(self):
    print("생성자")
  def __del__(self):
    print("소멸자")
a = A()
del a
생성자
소멸자
'지식 > 정보처리기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SQL 오답노트 (0) | 2021.04.18 | 
|---|---|
|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오답노트 (0) | 2021.04.17 | 
| 프로그래밍 활용 개행 구분하기 (0) | 2021.04.16 | 
| 웹 사이트에서 프로그래밍 연습하기 (0) | 2021.04.16 | 
| 리눅스/유닉스 명령어 연습 사이트 (0) | 2021.04.15 | 
 
								 
								 
								